제 블로그는 AWS Lightsail 인스턴스
를 통해 설치형 워드프레스
로 만들었기 때문에 서버 관리를 할려면 AWS Lightsail 인스턴스 서버로 들어가야 합니다. 따로 기록하지 않으면 까먹을까봐 기록해 둘려고 합니다.
1) 웹콘솔을 통해 접속하기

제가 공부하기로 Lightsail 서버 접속은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웹 콘솔을 통해 접속하기
- 로컬에서 CLI(Command Line Interface)을 통해 접속하기
웹 콘솔을 통해 접속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개인 AWS 계정으로 접속한 후 Lightsail 탭으로 이동하면 생성한 인스턴스가 보입니다. 인스턴스를 클릭하면 위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SSH를 사용하여 연결을 선택하면 됩니다.

2) CLI(Command Line Interface)을 통해 접속하기 (SSH)
AWS Lightsail 인스턴스를 생성하면서 key pair을 등록할 수 있는데 이때 딱 한번만 개인키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개인키를 통해 Lightsail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해당 키를 소유하고 있고 서버와 연결되있는 도메인이나 고정 IP를 알고있으면 아무나 Lightsail 인스턴스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각자 소유하고 있는 CLI 프로그램을 실행합니다. 윈도우 10의 경우는 cmd(명령 프롬프트)가 되겠지만 따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하는 분도 있습니다.

ssh -i 폴더/전체/경로/암호키파일명.pem 서버사용자명@서버IP주소
우선 개인 키 파일인 .pem 파일의 경로를 알아야합니다. /폴더/전체/경로 가 암호 키 파일이 들어가있는 폴더 경로입니다. 정확한 방법은 검색(ex. 윈도우10 cmd 사용법)을 통해 알아내시면 됩니다.
서버 사용자명은 저와 같이 비트나미를 통해 워드프레스를 설치한 서버라면 서버 사용자명이 bitnami 일겁니다. 비트나미가 아닌 다른 이미지(IOS)에 기반하여 설치한 Lightsail 사용자명은 아래와 같습니다. 아래 이름은 추후에 달라질 수 있습니다.
- Amazon Linux, openSUSE 및 FreeBSD:
ec2-user
- CentOS:
centos
- Debian:
admin
- Ubuntu:
ubuntu
- Bitnami 인증 인스턴스:
bitnami
- Plesk 인스턴스:
ubuntu
서버 IP 주소는 Lightsail 인스턴스의 프라이빗 IP, 고정 IP, 서버와 연결되있는 도메인(DNS)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제 블로그의 경우에는 angliss.cc 가 되겠네요.

Lightsail 인스턴스 리눅스 서버 접속에 성공하면 위와 비슷한 화면이 나올 것입니다. 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