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아이패드, Windows 시스템에서 Zoom으로 미러링하기

아이폰/아이패드 같은 애플 모바일 기기들은 Mac 시스템에서 매우 쉽게 화면 공유(미러링)를 할 수 있다. Windows 시스템에서도 미러링(화면 공유)을 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들이 많지만 대부분 유료이다. 인터넷 방송에서 간단하게 본인 모바일 화면을 송출하고 싶은 사람들에겐 부담스러운 가격들이 대부분이다.

Zoom 로고

커뮤니케이션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Zoom은 코로나 팬데믹 시대에 맞춰 비대면 소통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사실 예전부터 잘나가던 프로그램인데 매우 완성도 높은 소통 프로그램이라 생각하면 된다.

어쨌든 이 Zoom으로 아이폰/아이패드 화면을 Windows 시스템에서 미러링을 할 수 있다! 시간제한도 없다! 별로 버벅대지도 않는다! 짱이다!!

과정


Zoom 계정이 없다면 만들도록 하자. 회원가입 절차는 생략! Zoom을 다운로드하는 절차도 생략! 해당 게시글을 읽는 분들은 당연하게 할 수 있는 것들이라 판단한다.

회원가입하고 Zoom을 다운로드해 실행하도록 하자.

처음 Zoom을 실행하면 비디오와 오디오 장치를 연결(설정) 하라는 알림 창이 나온다. 아이폰/아이패드 화면 공유를 목적으로 Zoom을 다운로드한 분은 무시해도 된다.

[새 회의] 오른쪽에 있는 드롭 다운 버튼을 클릭하면 <내 개인 회의 ID(PMI) 사용>이라는 옵션이 있는데 체크(✔) 돼있어야 한다. 그 상태로 [새 회의] 이미지 버튼을 클릭하자.

그럼 참가자가 ‘나’ 혼자인 회의가 시작된다. 회의 창에 마우스 포인트를 올리면 [화면 공유] 버튼이 있다. 클릭하자.

그럼 [공유하려는 창 또는 앱 선택] 창이 열린다. 여기서 <iPhone/iPad> 옵션을 선택하고 [공유] 버튼을 클릭하자.

이런 화면이 나오는데, 절차대로 진행하면 된다. [1]에서 말하는 <동일한 네트워크>는 간단히 말해서 같은 공유기에 연결돼있으면 된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Windows 시스템 컴퓨터가 집에서 사용하는 ip타임 공유기에 유선으로 연결돼있고 iPad가 ip타임 와이파이에 연결돼있으면 <동일한 네트워크>이다.

아이폰/아이패드의 제어 센터에서 위 사진에서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는 <AirPlay> 버튼을 클릭하자.

그럼 [Zoom]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장치를 선택한다면..

컴퓨터 상에서 모바일 기기 화면을 띄울 수 있다. OBS 같은 방송 송출 프로그램에서 캡처할 수 있으니 적극 활용하도록 하자.

다만 화면 미러링을 하고 있을 때는 저작권 문제 때문에 유튜브, 트위치, 넷플릭스, 등 따위의 영상물은 볼 수 없다.

어쨌든 무료로 시간 제약 없이 화면 공유를 할 수 있으니 얼마나 좋단 말인가! Zoom 만세!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